혈당과 당화혈색소가 정상이면 약을 끊어도 될까요?(당뇨 졸업)
당뇨약을 복용하다가 꾸준한 식습관 개선 및 운동 등으로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정상이 되면 한 가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바로 약을 끊을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인데요. 당뇨 졸업이라고도 하죠. 오늘은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정상 수치, 당뇨약 단약시 고려할 사항, 그리고 단약 후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이 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마지막 제 소견으로 단약 하고 싶은데 병원에서 당뇨약을 계속 권하는 이유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혈당과 당화혈색소의 정상 수치는?
혈당과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혈당은 공복, 식사 전과 후에 측정되며, 정상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복 혈당 : 100 mg/dL 이하
- 식전 혈당 : 80~130 mg/dL
- 식후 2시간 혈당 : 180 mg/dL 미만
당화혈색소(HbA1c)는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을 반영하며, 정상 수치는 5.6% 이하입니다.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이러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은 당뇨병 관리의 기본입니다. 특히, 당화혈색소가 6% 이하로 유지되면 당뇨병의 합병증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
당뇨약 단약시 고려할 사항
당뇨약을 복용하는 이유는 혈당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혈당과 당화혈색소가 정상 범위에 들어오면 약을 끊고 싶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마음입니다. 약을 단약 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사와 상담 : 단약을 고려할 때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본인 혼자서 결정할 사항이 아닙니다. 의사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혈당 조절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적절한 조언을 해줄 수 있습니다.
- 생활습관 개선 : 약 복용 전보다 더 철저한 식습관 관리와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자신이 있어야 합니다. 약 복용 시에는 가끔씩 일탈을 하면서 먹고 싶은 음식과 게으름이 용서되었지만 단약시에는 하루도 용납이 안될 수 있어요.
당뇨약 단약 후 실패 사례
단약 후 실패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환자는 혈당(공복 100 이하)과 당화혈색소(5.4~5.5)가 정상으로 돌아온 후 약을 끊었지만, 다시 혈당이 상승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 환자는 식습관이 예전으로 돌아가고 운동을 소홀히 하면서 혈당이 다시 높아졌는데요. 당화혈색소도 6.5% 이상이 되면서 당뇨합병증 위험에 노출되고 말았어요. 다시는 단약 하지 않겠다고 다짐하게 됩니다. 단약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거죠.
당뇨약 단약 후 성공 사례
반면, 성공적으로 단약 한 사례도 있습니다. 한 환자는 당화혈색소를 5점 초반대로 유지하기 위해 꾸준한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했습니다. 이 환자는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약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갔고, 결국 약을 완전히 끊을 수 있었습니다. 담당 의사도 환자의 의지나 검사 결과 추이를 봤을 때 단약해도 되겠다는 판단이 선 것이죠. 단약 하는 경우가 흔하지 않지만 이런 성공 사례는 많은 당뇨인들에게 희망을 줍니다.
단약 하고 싶은데 병원에서 당뇨약을 계속 권하는 이유
혈당과 당화혈색소 수치가 정상이 되어 단약 하려고 담당 의사에게 얘기하면 대부분 계속 복용하기를 권합니다. 왜 그럴까요? 의사 입장에서 과거 환자 데이터 통계를 봤을 때 단약해서 성공하시는 분보다 실패하시는 분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실패하신 분들 중에서는 당뇨합병증까지 와서 더 힘들게 치료받는 분들도 경험하셨을 거예요. 단약 하게 되면 당뇨약 복용 중일 때 보다 더욱더 철저한 혈당관리를 해야 하는데 인간의 의지라는 게 지속적으로 꾸준히 한다는 게 쉽지 않다는 걸 잘 아는 거죠. 그리고 또 한 가지는 약 복용 중 일 때는 약의 도움으로 가끔씩 일탈을 하고 먹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지만 단약시에는 하루라도 일탈을 용납할 수 없는 재미없는 인생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당뇨 환자의 식후 운동 중 가장 효율적인 맨몸 운동 BEST 3
당뇨환자의 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식후 운동을 하고 안 하고 차이는 정말 큽니다. 매번 식후마다 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하루에 한 번은 꼭 해야 하는 식후 운동 중 어떤 운동이 가장 효율적일까
nomadmino.com
마른 당뇨인이 살 찌면서 혈당 관리하는 식단 관리법
일반적으로 당뇨 환자는 체중 감량에 집중하며 혈당 관리를 합니다. 하지만 오히려 체중을 늘려야 하는 마른 당뇨인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마른 당뇨인은 일반적인 당뇨 환자와는 다른 고민을
nomadmino.com
어린이 당뇨 환자인 소아당뇨의 증상, 판정 기준, 완치 방법
당뇨병은 어른들뿐만 아니라 우리 아이들에게도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 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생활습관병으로 알고 있는 당뇨가 성인이 아닌 어린이에게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보
nomadmino.com
댓글